본문 바로가기
종목 공부

귀농귀촌 100명중 7명은 다시 도시로..

by chickyu 2017. 9. 28.
반응형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농촌 정착에 어려움을 호소하고있다. 귀농귀촌인 100명중 7명이 도시로 돌아가거나 2030귀농귀촌인이 2차 이주를 시도하는 일이 비번 한것이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구축한 귀농귀촌패널 1,039명을 대상으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추적 조사해 역 귀농귀촌 실태 및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주요 조사결과, 귀농귀촌인의 88.8%가 농촌에 정착하여 계속 살고 있고, 6.8%만이 도시로 되돌아갔는데 그 이유로는 영농실패(43.5%)가 가장 많고 일자리(17.4%), 자녀교육(13.0%), 건강(13.0)% 순이었다.


다른 농촌으로 이주하는 2차 귀농귀촌 비율을 4.3%로 대부분 품목 변경, 농지 주변으로 이상, 농지 획득 등 더 나은 영농여건을 찾아 이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인의 연령대별 거주현황을 살펴보면 40세 미만의 젊은 귀농귀촌인일수록 계속 거주(8.8%)나 도시로의 이주(5.4%)보다 다른 농촌으로의 이주(24.4%)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030세대 귀농귀촌인은 중노년층과 달리 농촌정착에 어려움이 있어도 바로 도시로 돌아가기보다는 다른 농촌으로의 2차 이주를 시도함으로써 농촌에 정착하려는 의지가 강함을 알 수 이싿.


도시 출신의 귀농귀촌인일수록 농촌에 정착(39.5%)해 살기보다는 다른 농촌으로의 이주(63.6%)나 도시로의 이주(55.1%)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농촌 출신은 농촌 정서를 알고 부모의 영농 기반을 승계해 정착이 수월한 반면, 도시 출신은 그러지 못한 데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추적조사 첫 해에 귀농귀촌에 대하여 매우성공적 이거나 성공적인 편이라고 응답한 귀농귀촌인일수록 도시로 이주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추적 조사가 가능한 귀농귀촌 패널을 활용해 역 귀농귀촌의 규모와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중점을 뒀다. 그동안 발표된 역 귀농귀촌율은 조사마다 편차가 크고 수치가 다소 높게 나타나 귀농귀촌하려는 사람들에게 농업농촌의 진입 장벽이 높은 것으로 인식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