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규모-소규모 농장 상생 필요
고품질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추진하는 대규모 스마트팜이 소규모 농가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0일 충남도의회 강욜일 의원이 충남도로 부터 받은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의 수출 전문 스마트팜 온실 신축사업 공모에 부여 2곳 등 창남지역 4곳이 선정됐다.
총 사업비는 국비 38억원, 도비 17억원, 시·군비 40억원 등 190억이다.
사업자는 3년의 유예기간을 거쳐 딸기60%, 파프맅카50%, 토마토40%를 의무적으로 수출해야 한다.
스마트팜이 확대되면 규모와 시설, 생산량과 가격 경쟁 등에서 밀리는 소규모 농장이 생존할 수 없게 된다는게 강의원의 주장이다.
토마토 스마트팜의 경우 생산량이 기존 비닐하우스 농가보다 3~5배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강의원은 "대규모 농가와 중·소규모 농가에 대한 정책 이원화가 필요하다"며 "대규모 농가는 수출 중심 정책을 소규모 농가는 양질의 품질 생산과 출하시기 조정을 통한 가격 폭락 예방, 유통업체와 출하 역정을 통한 계약재배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종목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촌융복합산업(6차 산업)-스마트팜 현황과 미래전망 (0) | 2017.11.02 |
---|---|
스마트팜 : 히트펌프로 신재생에너지 사업 (0) | 2017.11.01 |
일본 후지쯔가지원 클라우드 '아키사이'-작황·비용·수익성까지 데이터가 알려주는 농사 (0) | 2017.10.30 |
[귀농귀촌 준비하기] 귀농창업 및 주택구입 3억원까지 자금 지원받는 방법 (0) | 2017.10.30 |
지하농장 "식량부족 해결 열쇠" (1) | 2017.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