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마트팜6

4차 산업혁명과 미래농업 케이팜 4차 산업혁명 가장먼저 시행될 산업분야는 농업으로 시작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산업에 비해 아직까지 1차산업에 머물고 있는 농업은 이제 4차 산업혁명의 선두에 서야할 산업이 되었다. IT, ICT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은 농업의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새로운 산업의 강자로 기대를 부르고 있다. 육체노동과 반복적인 작업으로 짓던 1차산업의 농사는 이제 ICT기술을 접목해 모바일로 쉽고 편하게 작물을 재배관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단순한 수경재배를 벗어나 하우스등에서도 온도, 습도, 햇볕량, 이산화탄소등을 원하는 조건으로 관리하며 스마트팜의 도입가능 작물은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농민의 감이 아닌 정확한 데이터를 갖고 운영되는 스마트농장은 작물의 생산성 증대에 엄청난 영향을 준.. 2017. 6. 14.
농업의 새로운 발견 컨테이너팜 케이팜 kfarm 귀농귀촌박람회 컨테이너 안에 농장을 만들면 어떨까? 미국의 산업디자이너 조나단 프리드먼과 환경학자 브레드 맥나마리는 보스턴에서 누구나 자신만의 텃밭을 기를수 있게 하고 싶었다. 그러던 중 프리드먼의 눈에 컨테이너가 들어왔다. 미국 보스턴의 비싼 월세를 감당하지 못해 컨테이너에서 살아볼 생각을 하고 있던 찰나에 생각해낸 아이디어 였다. 프리드먼과 맥나마리는 곧장 컨테이너농장을 만들어 보기로 했다. 동시에 크라우드펀디 사이트인 킥스타터를 통하여 창업 자금도 확보 했다. 수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이들은 컨테이너농장 the leafy green machine (LGM)을 만들었다. 그리고 매년 신형 LGM을 내놓고 있다. LGM에는 흙이 필요없는 수경재배 시스템, 고효율 발광다이오드(LED)조명, 자동실내온도조절기 등이 설치되.. 2017. 6. 13.
관악구 첨단도시농업 "리얼스마트팜"조성 운영 관악구 첨단 세계최초 첨단도시농업 시설 리얼스마트팜 조성 관악구와 서울대가 리얼스마트팜 조성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한다.이번 협약은 관악구와 서울대가 함께하는 관.학 협렵사업의 일환으로 서울대의 첨단 기술을 도시농업에 접목, 학생과 주민들에게 첨단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전망이다. 리얼스마트팜은 세계 최초로 작물의 생체정보 센서를 개발한 서울대학교 이정훈 교수팀의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기술이다. 이는 ICT기술을 그린하우스에 접목하는 수준에 머물렀던 스마트팜 개념을 뛰어 넘는 기술로 작물체내 줄기나 잎의 물의 흐름속도와 물의 비료농도의 실시간 정보를 계측, 안전한 먹거리 생산에 핵심이 되는 생체 정보 기술이다. 이번 "리얼스마트팜" 조성은 관.. 2017. 6. 9.
스마트팜으로 해결하는 미래식량 곧 다가올 미래에는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등으로 인하여 지금까지 해오던 전통의 재래식 농업은 갈수록 어려워질 것이 틀림없다. 인구증가 또한 식량부족과 함께 미래 인류 고민의 핵심이다. 2050년이 되면 세계 인구가 약 92억명에 이르지만, 식량생산 증가는 현재 수준에서 큰 변동이 없을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인류의 고민을 풀어줄 대안으로 떠오르는것이 스마트팜이다. 스마트팜은 공장이나 온실처럼 밀폐된 공간에서 여러 층의 재배대에 농작물을 심은 뒤 최적화된 온도와 습도, 조명이나 햇볓량,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공하여 화학비료와 농약 없이 농산물을 생산한다. 또한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육환경을 점검하고,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원격 관리도 가능한 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첨단 융합산업이다. 이.. 2017. 6. 7.
케이팜 kfarm2017 농업테크 박람회-국내 스마트팜 도입과 미래농업의 변화 스마트팜이 부상하면서, 농업에 생태계가 변화하고 있습니다.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나노 등 첨단 ICT기술이 농업과 융복합되면서 농업은 점차 첨단화 기계화 되고 있습니다.세계적으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기존의 농업방식으로는 그에 상응하는 수준의 식량을 증산하는데 한계가 드러나고 있으며, 농촌은 점차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됨으로 인하여 노동력이 부족하고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이에 스마트팜을 농업에 도입하여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투자가 필요한 현실입니다. 현재 국내 농촌은 논밭 중심의 전통적인 농가의 영농 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고소득 작물의 안정적인 재바가 가능한 비닐하우스의 보급이 급증하는 추세입니다. 국내 스마트 온실 적용 가능 면적은 2014년 기준 50,59.. 2017. 4. 12.
귀농귀촌 이제 스마트농업 스마트팜시대 "스마트팜시장전망과 현재상황" 스마트팜 스마트팜은 ICT기술을 비닐하우스.축사.과수원 등 1차산업에 접목하여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을 말합니다.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물과 가축이 관리되기 때문에 노동력 대비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고, 농.축산물의 생산성과 품질도 덩달아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설원예분야 PC또는 모바일을 통해 온실의 온습도, 이산화탄소 등을 모니터링하고 창문개폐, 영양분 공급등을 원격자동으로 제어하여 재배하는 작물의 최적 생육환경을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농장 과수분야 PC또는 모바일을 통해 온습도, 기상상황 등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으로 관수, 병해충관리 등이 가능한 과수원 축산분야 PC또는 모바일을 통해 온습도 등 축사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사료 및 물 공급시기와 .. 2017. 2. 7.
반응형